기사 읽고 전시회 초대권 받자!

블랙리스트 사라지니..전태일청소년문학상에 문체부장관상 다시 준다

백승찬 기자

박근혜 정권 시절이던 지난 2년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장을 지원받지 못했던 전태일청소년문학상이 올해부턴 다시 장관상을 수여한다. ‘블랙리스트’가 사라지고 ‘비정상의 정상화’가 시행된 결과로 보인다.

서울 종로구 종로5가 청계천 버들다리에 놓은 전태일 동상. 경향신문 자료사진

서울 종로구 종로5가 청계천 버들다리에 놓은 전태일 동상. 경향신문 자료사진

3일 전태일재단은 “제10회, 11회 전태일청소년문학상에는 없었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이 올해 제12회부터는 부활했다”고 밝혔다. 전태일청소년문학상은 1회, 5회를 제외하고는 매회 문화부 장관상을 수여했으나, 2015년(10회), 2016년(11회) 때는 이 상을 주지 못했다. 박근혜 정권 당시의 문체부가 전태일청소년문학상 측에 장관상을 지원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당시 문체부는 “전태일은 문학인으로서 기념되기보다는 다른 의의가 더 큰 인물”이라며 “문학인이나 문학 자체에 대한 행사 위주로 장관상 수여를 결정했다”고 밝힌바 있다. 하지만 당시 장관상 지원 행사에는 ‘효녀심청 전국어린이 예술공모전’ ‘장애인근로자문화제’ 등도 포함돼 있어, 문체부의 장관상 지원 거부에 다른 이유가 있지 않느냐는 추측이 나돌았다. 문체부는 매년 연말 공모 이후 민간 전문가, 관계공무원 심사를 통해 장관상 지원 여부를 결정한다.

이날 문체부 관계자는 “전태일청소년문학상은 상의 의의나 가치로 볼 때 장관상을 수여해도 좋은 행사”라고 장관상 지원 이유를 밝혔다. 유현아 전태일문학상 운영위원은 “청소년문학상에까지 이념적인 잣대를 들이대 장관상 지원을 거부했던 상황이 이해되지 않는다”며 “석연치 않은 이유로 장관상 수상 대상에서 배제됐다가 정권이 바뀌자 다시 포함됐다는 것은 문화계 전반에 작동한 블랙리스트의 실체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Today`s HOT
정부 원주민 정책 비판하는 뉴질랜드 시위대 타히티에서 서핑 연습하는 서퍼들 뉴욕 법원 밖 트럼프 지지자들 중국-아랍국가 협력포럼 개최
abcd, 스펠링 비 대회 셰인바움 후보 유세장에 모인 인파
의회개혁법 통과 항의하는 대만 여당 지지자들 주식인 양파 선별하는 인도 농부들
남아공 총선 시작 살인적 더위의 인도 이스라엘 규탄하는 멕시코 시위대 치솟는 아이슬란드 용암 분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