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고 전시회 초대권 받자!

3대 기획사 상반기 성적표?···JYP 대박, SM 절치부심, YG는 고민중

고희진 기자

국내 아이돌 가요 시장은 에스엠(SM), 와이지(YG), 제이와이피(JYP)등 3대 기획사가 이끌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순 매출액 기준으로 보면 로엔 엔터테인먼트 등이 앞서고 있지만,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문화콘텐츠를 창출해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적 자원에 기댄 사업 구조를 영위하는 연예 사업은 전통적으로 변동성이 크다. 3대 기획사 역시 지금까지 대표 아티스트의 성장과 하락 과정에서 많은 부침을 겪었다. 각 회사의 올 상반기 매출 현황을 보면 자연스레 국내 아이돌 시장의 흐름이 드러난다.

피부로 느낄만큼 ‘대박’을 냈던 트와이스의 활약상은 재무제표에도 그대로 드러났다. 대표 아티스트들의 군 입대로 부진을 겪던 SM은 다시 기지개를 펼 준비 중이다. 그간 견고한 실적을 유지하던 YG는 빅뱅 이후 회사를 이끌어 나갈 아티스트의 육성에 힘써야 할 때임을 알 수 있다.

■트와이스가 살린 JYP

올해 가장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인 기획사라면 단연코 JYP다. JYP는 올 상반기 504억원의 매출액과 107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2015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506억원, 42억원이었던 것에 비교해보면 성장세는 3대 기획사 중 가장 크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의 비율도 3대 기획사 중 가장 높아 최근 들어 수익성도 크게 개선됐음을 알 수 있다. 업계에선 JYP의 올해 총 영업이익이 2015년의 4배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에 지난 몇년간 5000원 상하에서 움직였던 주가 역시 최근 9000원대를 넘어서기도 하는 등 시장의 전망도 좋다.

JYP의 성장세는 9인조 여성 아이돌 그룹 트와이스가 이끌었다. 2015년 10월 데뷔한 이들은 ‘우아하게’, ‘치어 업’, ‘시그널’, ‘TT’, ‘낙낙’, ‘시그널’ 등의 노래로 연타석 홈런을 치며 국내 여자 아이돌 중 정상에 우뚝 섰다. 지난 6월엔 일본 시장에 데뷔해 ‘해시태그 트와이스’(#TWICE)를 내놓기도 했다. 앨범은 발매 1달도 되지 않아 오리콘 집계 기준 판매량에서 20만장을 넘겼다.

김상호 JYP 홍보이사는 “음반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6배 늘어났는데 트와이스와 갓세븐의 역할이 컸다. 특히 트와이스의 성장이 매출과 이익 증대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 트와이스의 일본 데뷔도 성공적이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꾸준한 성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증권 업게 관계자들 역시 트와이스의 인기 추이로 볼 때, 이들의 재계약이 있는 2022년까지는 JYP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지인해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트와이스는 음원 쪽이 강세인데, 음원은 음반 등 다른 매출보다 원가가 낮아 수익성 좋다”며 “이들이 신인급 가수라는 점에서 아티스트와 회사의 수익배분율도 회사 쪽에 유리하기 때문에 트와이스가 JYP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이 높을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트와이스/ 경향신문 자료 사진

트와이스/ 경향신문 자료 사진

■YG, 빅뱅 이후를 고민해야

YG의 상반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791억원, 191억원으로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했다. 다만, JYP가 트와이스라는 걸출한 다음 세대 아이돌을 배출해 낸 것과 달리 YG는 빅뱅 이후를 고민해야 할 시점에 다다랐다는 평가가 나온다. 빅뱅과 투애니원 등이 활발한 활동을 펼치던 2011~2012년 사이 8만원을 넘어서며 최고치를 찍던 주가는 최근 2만원대 중반까지 내려앉았다.

업계 관계자는 “동방신기와 슈퍼주니어 멤버들의 연이은 군 입대로 지난 2년간 SM의 실적이 부진했던 것처럼 빅뱅 멤버들의 군 입대는 YG의 침체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현재 일본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아이콘 등의 향후 입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군 복무 중이던 빅뱅 멤버 탑이 마약 사건에 연루되며 향후 그룹의 전체 활동에도 제약이 걸렸다. YG의 자회사인 YG플러스의 화장품 사업 역시 지난해부터 불거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실적의 향방을 쉽게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만, 올해 말과 내년까지도 대표 아티스트인 아티스트인 빅뱅의 그룹, 개인별 해외 투어 일정이 잡혀있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향후 1~2년간 YG의 입지도 크게 변화가 없을 것이란 전망이다. 최근 들어 궤도에 올라선 것으로 평가되는 아이콘의 일본 활동 역시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그룹 빅뱅의 10주년 기념 콘서트 ‘빅뱅10 더 콘서트: 제로 투 텐 파이널 인 서울’ 공연 장면 / YG엔터테인먼트

그룹 빅뱅의 10주년 기념 콘서트 ‘빅뱅10 더 콘서트: 제로 투 텐 파이널 인 서울’ 공연 장면 / YG엔터테인먼트

■SM, 일본 활동으로 부진 털어낼까

SM은 지난 20년간 H.O.T, 동방신기, 엑소 등을 배출하며 명실상부한 국내 아이돌 명가로 군림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의 실적은 하향세를 면치 못했다. 2012년 600억원 대였던 영업이익은 2013년 405억원, 2014년 343억원, 2015년 384억원, 2016년 207억원으로 하향세를 타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은 25억원으로 뚝 떨어졌다.

김진우 가온차트 수석연구위원은 “표면적인 실적 악화의 가장 큰 이유는 올 상반기 엑소의 활동이 뚜렷이 없었다는 점이다. 소녀시대가 컴백했지만, 그간 연간 누적으로 40만 장까지 팔았던 대표 걸그룹의 음반 판매량은 올해 하락세가 뚜렷했고 음원 순위도 좋지 않았다. NCT 등 주력하고 있는 신예도 아직까지는 이렇다 할 반응이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엑소 등 중국 활동이 많았던 아티스트들이 사드 여파로 인해 활동에 제약이 걸린 것도 큰 타격을 줬다.

무엇보다 지난 2년간 SM이 국내 아이돌 기획사의 주요 수입원인 일본 콘서트를 다수 개최하지 못했다는 것이 실적 부진의 큰 이유로 꼽힌다. SM에서 일본 돔 콘서트가 가능한 아티스는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엑소, 샤이니가 꼽힌다. 이 중 가장 큰 관객 동원력을 가진 동방신기가 지난 2년간 군 입대로 활동하지 못했다.

다만, 동방신기는 올 11월부터 삿포로돔을 시작으로 내년 1월까지 일본 5대 돔 투어를 14회 진행한다. SM은 이번 돔 투어로 약 65만 명의 관객을 동원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올 상반기 큰 활동이 없었던 엑소도 콘서트 등의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하반기 국내 앨범 발매를 준비 중인 슈퍼주니어는 월드 투어도 예정하고 있다.

2016년 에스엠타운 라이브(SMTOWN LIVE) 도쿄 콘서트 / SM엔터테인먼트

2016년 에스엠타운 라이브(SMTOWN LIVE) 도쿄 콘서트 / SM엔터테인먼트


Today`s HOT
정부 원주민 정책 비판하는 뉴질랜드 시위대 타히티에서 서핑 연습하는 서퍼들 뉴욕 법원 밖 트럼프 지지자들 중국-아랍국가 협력포럼 개최
abcd, 스펠링 비 대회 셰인바움 후보 유세장에 모인 인파
의회개혁법 통과 항의하는 대만 여당 지지자들 주식인 양파 선별하는 인도 농부들
남아공 총선 시작 살인적 더위의 인도 이스라엘 규탄하는 멕시코 시위대 치솟는 아이슬란드 용암 분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